KORMOYA – 한국 정보 모든 것

중국인 한국 비자 신청하기 | 구비서류, 절차, 수수료 총정리

1. 사증 신청 서류 작성 및 구비 요령

  • 입국 목적별 구비 서류 확인: 홈페이지의 **”입국목적별 구비서류”**를 참고하여 해당하는 초청자(한국 측)와 신청인 서류를 모두 준비합니다.
    • 제출이 불가능한 서류는 사유를 입증할 수 있는 서류로 대체 가능합니다.
  • 지정 양식 사용: 사증 신청서, 초청장 등은 대사관 홈페이지의 영사 > 사증 > 사증민원양식에서 다운로드하여 사용합니다.
  • 사증발급신청서 작성:
    • 모든 항목을 상세히 기재하고, 연락 가능한 전화번호를 반드시 적어야 합니다.
    • 신청인 본인이 직접 서명해야 하며, 허위 내용 기재 시 사증 발급이 거부될 수 있습니다.
  • 서류 반환 불가: 제출한 서류는 반환되지 않으니 사본을 보관하시기 바랍니다.

초청장 관련 안내

  • 필수 기재 사항:
    • 초청자와 피초청자의 인적 사항, 연락처
    • 초청 사유(목적), 초청 기간
    • 국내 체류 기간 중 신원 보증 내용
  • 작성 방법: 서명 및 날인을 해야 하며, 공증은 필요 없습니다.
  • 양식 다운로드: 대사관 홈페이지 영사 > 사증 > 사증민원 양식에서 다운로드
  • 주의사항:
    • 단기일반(C-3-1), 단기상용(C-3-4), 단기취업(C-4), 동반(F-3) 사증 초청장은 정해진 서식이 없습니다.
    • 거주(F-2), 결혼이민(F-6) 사증 초청장 양식은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하여 작성합니다.

공적 서류 발급 기준

  • 유효기간: 사증 신청일 기준 3개월 이내 발급된 증명서만 유효합니다.
    • 해당 서류: 사업자등록증명, 납부내역증명, 가족관계증명, 혼인관계증명 등
  • 발급처:
    • 가족관계증명 및 혼인관계증명: 상세증명서 제출 (사증신청용)
    • 사업자등록증명, 납부내역증명원: 국세청 홈텍스(http://www.hometax.go.kr) 또는 세무서에서 발급

범죄경력증명서

  • 유효기간: 사증 신청일 기준 6개월 이내 발급된 증명서만 유효합니다.
  • 발급처: 호구지 관내 공안 부서에서 발급받아 발급기관 소재지의 성·시·자치구 공증처의 공증과 외사판공실의 인증을 받아 제출합니다.
  • 추가 제출 사항:
    • 최근 5년 이내 제3국에서 1년 이상 거주한 경우 해당 국가의 범죄경력증명서 추가 제출

결핵진단서 제출 안내

  • 대상자: 장기체류 자격에 해당하는 D~H 계열(유학, 연수, 투자, 주재, 결혼 등) 신청자
  • 발급처: 대사관에서 지정한 병원에서 발급
    • 지정 병원 명단은 목록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  • 면제 대상:
    • 만 6세 미만 소아
    • 임산부
  • 유효기간: 발급일로부터 3개월
  • 주의사항: 결핵진단서 제출 대상 사증 종류는 **”입국목적별 구비서류 안내”**를 참고하세요.

2. 사증 신청 일반 절차

업무 관할 지역

  • 원칙: 호구지 관할 공관에 사증 신청
  • 중국 공관 관할지역 안내:
    • 주중대사관: 북경, 천진, 하북성 등
    • 선양총영사관: 요녕성, 흑룡강성, 길림성
    • 상하이총영사관: 상해, 안휘성 등
    • 그 외 지역: 각 공관별로 관할 지역이 지정되어 있으니 확인 바랍니다.

관할지역 예외 사항

  1. 장기 거주 증명 가능 시:
    • 사회보험납부증명서, 거주증 등 제출 시 현재 거주지 관할 공관에서 신청 가능
  2. 유학 및 어학연수 사증 신청자:
    • 호구지 관할 공관뿐만 아니라 학교 소재지 관할 공관에서도 신청 가능
  3. 상용사증 등 소속회사 확인이 필요한 사증:
    • 회사 소재지 관할 공관에 신청
  4. 특정 사증 종류:
    • 대학 졸업자의 재외동포 사증(F-4-14): 학교 소재지 관할 공관에 신청
    • 법인기업체 대표·임원의 재외동포 사증(F-4-16): 회사 소재지 관할 공관에 신청
  5. 과거 복수비자 발급 이력 있는 경우:
    • 당관에서 발급받아 정상 출입국한 경우 신청 가능 (범죄경력증명 제출 대상자는 제외)

사증 접수 및 교부 시간 (2023.8.25.부터 시행)

  • 비자센터로 업무 이관:
  • 업무 시간:
    • 대행사 접수: 09:00 ~ 12:00
    • 개인 접수: 09:00 ~ 16:00
    • 교부: 09:00 ~ 18:00
  • 자세한 내용: 사증 공지사항 참고

사증 신청 방법 및 대리 신청 범위

  • 공무보통 여권 소지자: 중국 외교부를 통해 대사관에 신청
  • 기타 사증 신청자: 베이징 비자센터를 통해 개인 또는 지정 대행사를 통해 신청
    • 인도적 사유 등 특별한 경우: 소명서와 증빙서류를 갖춰 개인이 대사관 방문 신청 가능
  • 대행사 신청 범위:
    • 지정 대행사별로 지정된 범위 내에서 사증 신청 가능
    • 지정 대행사 리스트는 대사관 홈페이지의 영사 > 사증 > 대사관 지정 대행사에서 확인
  • 대리인 신청 범위:
    • 가족 대리 신청: 직계가족에 한해 동일 목적의 사증을 동시 신청할 경우 대표 1인이 신청 가능
    • 만 18세 미만 및 만 65세 이상 신청자: 직계가족이 대리 신청 가능

급행 사증

  • 신청 대상:
    • 단기방문(C-3), 단기취업(C-4), 주재(D-7), 기업투자(D-8) 사증
    • 사증발급인정서 소지자
    • 기타 급행 사증 발급 필요성이 인정되는 자
  • 소요 기간: 3일 이내

3. 사증 심사 수수료 (2022.06.01.부터 시행)

사증 유형수수료급행 수수료총계
단수사증
체류기간 90일 이내280元140元420元
체류기간 91일 이상420元140元560元
더블사증490元140元630元
복수사증(장·단기)630元280元910元
재입국허가기간 연장140元
  • 주의사항:
    • 사증 발급이 거부되거나, 복수사증 신청 후 단수사증이 발급되더라도 수수료는 반환되지 않습니다.
    • 2023.8.25일부터 베이징비자신청센터 개소로 비자센터 수수료 120元이 추가로 발생합니다.

4. 사증 발급 소요 기간 (근무일 기준, 2023.8.25.부터 시행)

사증 종류심사 기간
가족 사망, 병간호 등 인도적 사유당일
급행 사증 (C-3, C-4, D-7, D-8, 사증발급인정서 등)3~4일 이내
관광 사증(C-3-9)5일 이내
청소년 수학여행단, 사증발급인정서, 공무보통여권 소지자5일 이내
가족 방문 등 단기 방문(C-3-1)/상용(C-3-4)/단기 취업(C-4)5일 이내
일시 취재(C-1)/동포 방문(C-3-8)/유학(D-2)/어학연수(D-4-1)7일 이내
D/E 계열, F-1~F4, 방문 취업(H-2) 등 기타 장기 사증7일 이내
거주(F-2-3)/결혼이민(F-6)10일 이내
  • 주의사항:
    • 심사 과정에서 추가 서류 요청이나 면담이 필요한 경우 기간이 연장될 수 있습니다.
    • 인도적 사유 등 불가피한 경우 소명서와 증빙서류를 제출할 수 있습니다.

5. 사증 심사 결과 조회 및 교부 절차

  • 결과 조회:
    • 대사관 홈페이지의 “사증신청 결과조회” 메뉴에서 **대한민국 비자포털(www.visa.go.kr)**로 이동하여 영문 성명, 생년월일, 여권번호를 입력하면 확인 가능합니다.
    • 사증 발급 거부 시 사유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  • 여권 수령:
    • 대행사 신청자: 대행사를 통해 수령
    • 본인 수령 시: 사증 신청 시 받은 사증접수증을 지참해야 합니다.
    • 대리인 수령 시:
      • 사증접수증과 대리인의 신분증 원본 및 사본을 지참해야 합니다.
      • 사증접수증이 없는 대리인은 여권 수령이 불가능합니다.
  • 주의사항:
    • 신규 사증 발급 시 기존 사증은 원칙적으로 취소됩니다.

6. 기타 사증 신청 시 참고 사항

사증 발급이 불허된 경우

  • 재신청 기간:
    • 일반 사증: 불허일로부터 2개월 후 재신청 가능
    • 결혼이민, 영주자격 배우자 초청: 불허일로부터 6개월 후 재신청 가능
  • 불허 처분 공관 재신청:
    • 중국 내 다른 공관에서 사증 발급이 거부된 경우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해당 공관에 재신청해야 합니다.

사증의 효력 및 유의사항

  • 사증 종류 및 입국 가능 횟수:
    • 단수(Single): 발급일로부터 3개월 이내 1회 입국 가능
    • 더블(Double): 발급일로부터 6개월 이내 2회 입국 가능
    • 복수(Multiple): 발급일로부터 1~10년 동안 자유로운 입출국 가능
  • 주의사항:
    • 사증을 발급받았더라도 입국 심사 시 입국이 거부될 수 있으며, 이에 대한 책임은 발급 공관에서 지지 않습니다.
    • 체류 자격과 다른 활동(예: 취업 등)을 하려면 출입국관리사무소에서 별도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.
    • 체류 기간을 초과하여 체류하려면 출입국관리사무소에서 연장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.

사증 심사의 기준

  • 사증 불허 사유:
    • 유효한 여권 미소지
    • 입국 목적 및 체류 기간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
    • 대한민국의 이익이나 공공 안전을 해할 우려가 있는 경우
    • 경제질서 또는 사회질서를 해할 우려가 있는 경우
    • 전염병 환자, 마약 중독자 등 입국 규제 대상자
  • 허위 서류 제출 시:
    • 허위 서류 제출, 신청서에 허위 사실 기재, 명확한 입국 목적 및 체류 기간을 제시하지 못하는 경우 사증 발급이 거부될 수 있습니다.

댓글 달기

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필드는 *로 표시됩니다

RSS
Follow by Email
위로 스크롤